print문은 아래와 같이
System.out.print();
가 기본 형태 입니다.
여기에 System.out.println();으로 하면 줄넘김이 가능하죠..
그리고 앞에서 보았듯이 여기에 무언가를 적게 되면 화면에 출력하게 됩니다.
System.out.print(""내용");
그리고 위와 같이 하면 "내용"이라는 글자가 출력되게 됩니다..
System.out.print("\/"); 을 하게 되면 아무런 내용없이 한줄 줄넘김이 됩니다.
예를 들어
System.out.print(""내용\n내용");
이라 작성을 하였다고 하면
"
내용
내용
"
과 같이 출력이 됩니다.
다른 활용은
System.out.println("홍길동 " + "부산 " + "안녕");
와 같이 입력하게 되면
"홍길동 부산 안녕"
과 같이 출력이 됩니다.
print문에서 () 안에 "" 안에 내용을 작성하면 화면에 출력이 되고, 그 글자와 글자는 + 기호
(연결자)를 통해 연결이 가능합니다.
이것만 보았을 때는 별로 활용도를 못느끼겠지만,
예를 들어
변수 a에 20이라는 값이 저장이 되고 그것을 글자와 글자 사이에 넣어서 출력을 하고자 할 때 활용이 가능합니다.
System.out.println("홍길동 " + a + "안녕");
과 같이 입력하게 되면
"홍길동 20안녕"
으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다음으로 print문으로 연산과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System.out.println(100 + 200);
와 같이 입력이 가능하며
해당 내용으로 입력했을 경우 출력은 100+200이 연산처리가 된 값인
"300"
으로 출력이 됩니다.
연산을 원할 경우 "" 없이 입력을 하면 되며,
System.out.println("100 + 200"); 와 같이 "" 안에 넣었을 경우
"100 + 200"
과 같이 연산처리가 되지 않는 모습으로 출력이 됩니다.
활용하면
System.out.println("100 + 200 = " + (100+200));
"100 + 200 = 300"
이 출력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