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1

Chrome (1) GAME (2) HTML (3) Internet Explore (1) Movie (1) TIP (2) Windows (2) java (51) 건강 (1) 맛집 (1)

Post List

2017년 2월 22일 수요일

java]05]변수/상수

변수 :

사용할 데이터를 메모리에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일종의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여러가지 형태로 저장이 되며, 변경이 가능하다. 변경이 불가능한 것도 있는데 이것은 상수라 부른다. 
변수 혹은 상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태를 지정해주어야 하는데 그것을 데이터 타입이라 부르며 종류는 다음과 같다.

논리형 - boolean
문자형 - char
정수형 - byte(1byte), short(2byte), int(4byte), long(8byte)
실수형 - double, float
참조형 - String(문자열)
상수 :


변하지 않을 고정된 값을 말한다. 변수 선언시 final을 적어주면 상수로 선언이 된다.
예)final int NUMBER =100;


변수 형태
데이터타입 변수명 = 초기값;
ex) int a = 0;

1. 논리형 타입 boolean

boolean tf=true;
boolean tf2=false;
와 같이 값을 넣을 수 있다.
true 또는 false 값만 가질 수 있으며, 참, 혹은 거짓으로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문으로
10<20라고 했을 때(앞에서 10이 20보다 작다 라고 읽으면 된다.)
이것에 대한 값은 사실(true)이 될 것이고,
10>20라고 했을 때는 이것은 거짓(false)가 될 것이다. 


2. 문자형 타입 char

char ch='A';
문자를 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위와 같이 선언할 경우 ch 변수에는 A(대문자 A)가 저장되게 됩니다.
이곳에는 하나의 문자만 입력이 가능하며, AB와 같이 복수의 문자는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입력시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활용으로 
char ch='A';
int i = ch; 
를 입력하게 되면 변수 i에 변수 ch의 값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것을 출력하게 되면 A의 int 형 값(유니코드값)인 65가 출력됩니다.
역으로 입력 및 출력도 가능한데. 
int i = 65;
char ch = (char)i; 
를 입력하게 되면 i에 65가 저장되어 있지만, 그것을 ch에 넣음으로해서 문자형으로 변환되어 ch를 출력했을 때 A가 출력된다.
[char ch = (char)i; 의 (char)은 정수형인 i를 문자형으로 넣을 수 없기에(데이터 타입이 다르기에) 강제로 (char)를 붙여 i의 값을 char 형으로 변경해주는 행위이다.]
3. 정수형 타입 byte(1byte), short(2byte), int(4byte), long(8byte)

byte(1byte)형
1byte의 크기를 가지며,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128~127의 숫자를 가질 수 있다.

short(2byte)형
2byte의 크기를 가지며,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32,768~32,767를 가질 수 있다.

int(4byte)형
4byte의 크기를 가지며,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2,147,483,648~2,147,483,647를 가질 수 있다.

 long(8byte)형
8byte의 크기를 가지며,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9,223,372,036,854,775,808~9,223,372,036,854,775,807를 가질 수 있다.


4. 실수형 타입 float(4byte) double(8byte)


float(4byte)
4byte의 크기를 가지며,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1.40129846432481707e-45 ~3.40282346638528860e+38)

double(8byte)
8byte의 크기를 가지며,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4.94065645841246544e-324d ~1.79769313486231570e+308d)


5. 참조형타입 String(문자열)


String은 문자열로 하나하나의 문자들이 각각의 배열에 저장되어 있는 형태를 띠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예)
String a = "windows";
으로 windows라는 단어를 삽입할 수 있다.
단어의 각각의 문자인 w,i,n,d,o,w,s 가 배열로 하나씩 저장되어 조합되어 있다 생각하면 될 것 같다.
System.out.println(a);
로 windows를 출력할 수 있으며,
for (int i=0; i<a.length();i++){
System.out.print(a.charAt(i)+",");
}
로 w,i,n,d,o,w,s,로 출력할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